Notice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관리 메뉴

위성

디아2 레저렉션, 매직 셉터 구하는 방법 본문

게임

디아2 레저렉션, 매직 셉터 구하는 방법

wisung 2022. 7. 31. 21:39

팔라딘이 쓰는 '2 성기사 스킬 + 10 패캐(빠른 시전 속도)' or '3 전투 스킬 + 10 패캐' 매직 셉터.

부분 스킬이 붙는 정도에 따라 해머딘이나 피스트딘이 활용하게 되는.

 

어떤 구성이 최상인가?

 

해머딘의 경우는 최고의 옵션으로는

'2 성기사 스킬 + 10 패캐' > '3 전투 스킬 + 10 패캐' > 그 외 기타.

부분 스킬로는 '3 축복받은 망치' > '3 집중' >> '3 속죄', 물론 다 붙으면 최상.

 

피스트딘의 경우는

'3 전투 스킬 + 10 패캐' >= '2 성기사 스킬 + 10 패캐' > 그 외 기타.

부분 스킬로는 '3 천상의 주먹' > '3 선고' >= '3 속죄(1 속죄도 유옵)', 물론 다 붙으면 최상.

 

여기에서 5막의 첫 번째 퀘스트로

라주크에게 구멍을 뚫게 하면 1~2 소켓이 부여되는데,

2 소켓이 나오면 금상첨화가 되는.

 

왜 해머딘은 '2 성기사 스킬' 우선이고, 피스트딘은 '3 전투 스킬'이 우선인가?

 

해머딘의 '축복받은 망치'의 경우 '집중' 오라가 데미지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피스트딘의 경우도 '천상의 주먹'에 '선고'의 영향이 있기는 하지만 미미하고,

실제 사냥에서는 번개 데미지가 아닌 '신성한 빛줄기'의 매직 데미지로 사냥을 하기에 '선고'의 영향이 적기 때문이다.

 

피스트딘에서 '3 속죄'가 왜 '3 선고'와 비비는가?

 

해머딘의 경우는 '3 속죄'는 1스킬 포인트 절감 효과밖에 없다.

'축복받은 망치'의 시너지를 위해 방어 오라의 '속죄' 바로 아래까지는 찍어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피스트딘의 경우 방어 오라를 찍을 이유가 없어 사실상 5 스킬 포인트를 아낄 수 있다.

 

또한 '축복받은 망치'에 대한 '집중'의 영향이 큰 부분과

'천상의 주먹'에 '선고'의 영향이 미미한 부분 역시

'속죄'의 상대적인 가치를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

 

참고로 '속죄'는 1스킬만으로도 실용성을 갖는데,

스킬의 레벨보다는 스킬을 찍지 않고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 주요 고려 요소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3스킬과 1스킬의 실질적 차이도 크지 않고 말이다.

 

'10 패캐'가 왜 중요한가?

 

성기사의 패캐 프레임이 나뉘는 구간이 125 패캐이다.

 

여기에서 무기를 제외한 부위에서 충당할 수 있는 패캐는

머리(20 패캐~25 패캐), 목걸이(광패 20 패캐), 방패(영혼 35 패캐), 장갑(20 패캐), 벨트(20 패캐)로

최대 115~120 패캐까지 충당이 가능하다.

 

즉 셉터에서 10패캐를 확보하지 않으면,

반지에서 10 패캐를 확보해야 한다는 말이고,

이는 즉 반지에서 올릴 수 있는 1 스킬 상승 효과를 포기해야 한다는 말이니.

 

즉 10 패캐가 1스킬의 차이를 낸다는 말도 되는 것이다.

더군다나 반지의 1스킬은 모든 스킬로 룬워드 '소집'의 함성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어디에서 구할까?

 

매직 아이템은 기본적으로 주워서 감별 스크롤로 확인을 하는 게 아니다.

에테리얼이나 특수한 경우가 아니라면 상점에서 구하는 게 보통. 아래처럼.

 

 

필드에서 매직 셉터 8개를 줍는 게 나을까.

아니면 상점 리셋해서 한 번에 8개를 확인하는 게 나을까.

 

삥바바를 육성 중이면, 트라빈칼 사냥터로 가는 길에 한 번씩 봐주면 된다.

 

최적화된 레벨은?

 

55레벨 캐릭터부터 '2 성기사 스킬' 워 셉터를 구할 수 있고,

65레벨 캐릭터부터 '3 전투 스킬' 워 셉터를 구할 수 있다.

디바인 셉터의 경우 각각 67레벨 77레벨, 카두시어스의 경우 80레벨이 최저 요구치이다.

 

즉 65레벨 혹은 67레벨에서 상점 러시를 하는 것이 최적이다.

물론 그 이상이라도 무방하긴 하나 확률은 좀 떨어지게 된다.

 

참고로 매직 레벨 계산 방식은 디아 수식 중 가장 귀찮고 조잡한 방식을 따른다.

그래서 위의 경우에 따른 계산한 결괏값만 표기하고 관련 공식은 별도로 다루진 않는다.

 

팁?

 

액트 2에서 우측(2시) 입구 쪽 필드를 오가며 목록을 리셋하여

드로그난을 상대로 아이템을 확인하는 게 빠른다.

 

그리고 '사장매수'  기억하고,

접사가 '사제의(성전사 스킬 +2)',

'장미 낙인의(성전사 전투 스킬 +3)',

'매 낙인의(성전사 전투 스킬 +2)',

'수습생의(빠른 시전 속도 10%)'라고 붙은 것을 우선 확인한다.

 

그리고 스킨 편집이 가능하면, 스킨에 관련 강조 기능을 추가할 수도 있다.

적용하면 ' >수습생의<   >사제의<   워 셉터 ' 이렇게.

item-nameaffixes.json에서 아래 내용을 찾아 변경하거나, bnet.json에 아래 내용을 추가하면 된다.

더보기

  // ********************************************************************************
  // ** **
  // ** item-nameaffixes.json  **
  // ** 상점 러시. 접두사, 접미사 강조. **
  // ** **
  // ********************************************************************************
  {
    "id": 1820,
    "Key": "Priest's",
    "enUS": "Priest's",
    "zhTW": "牧師",
    "deDE": "Priester -",
    "esES": "de sacerdote",
    "frFR": "de Prêtre",
    "itIT": "del Sacerdote",
    "koKR": "ÿc2>ÿc3사제의ÿc2<ÿc3",
    "plPL": "[fs]Kapłańska[ms]Kapłański[nl]Kapłańskie",
    "esMX": "del sacerdote",
    "jaJP": "司祭が携えし",
    "ptBR": "[fs]Sacerdotal[ms]Sacerdotal[fp]Sacerdotais[mp]Sacerdotais",
    "ruRU": "[ms]жреческий[fs]жреческая[ns]жреческое[pl]жреческие",
    "zhCN": "牧师的"
  },
  {
    "id": 1855,
    "Key": "of the Apprentice",
    "enUS": "of the Apprentice",
    "zhTW": "學徒之",
    "deDE": "des Lehrlings",
    "esES": "del aprendiz",
    "frFR": "de l’apprenti",
    "itIT": "dell'Apprendista",
    "koKR": "ÿc2>ÿc3수습생의ÿc2<ÿc3",
    "plPL": "Ucznia",
    "esMX": "del aprendiz",
    "jaJP": "徒弟の",
    "ptBR": "do Aprendiz",
    "ruRU": "ученика",
    "zhCN": "习法者之"
  },
  {
    "id": 20773,
    "Key": "Rose Branded",
    "enUS": "Rose Branded",
    "zhTW": "玫瑰烙印",
    "deDE": "[ms]markierter[fs]markierte[ns]markiertes[pl]markierte",
    "esES": "[fs]de marca de rosa[ms]de marca de rosa[fp]de marca de rosa[mp]de marca de rosa",
    "frFR": "[ms]floral[mp]floraux[fs]florale[fp]florales",
    "itIT": "con Rosa Incisa",
    "koKR": "ÿc2>ÿc3장미 낙인의ÿc2<ÿc3",
    "plPL": "[fs]Amarantowa[ms]Amarantowy[nl]Amarantowe",
    "esMX": "[ms]marcado por rosa[fs]marcada por rosa[mp]marcados por rosa[fp]marcadas por rosa",
    "jaJP": "薔薇の刻印入り",
    "ptBR": "[ms]Marcado pela Rosa[mp]Marcados pela Rosa[fs]Marcada pela Rosa[fp]Marcadas pela Rosa",
    "ruRU": "[ms]украшенный розой[fs]украшенная розой[ns]украшенное розой[pl]украшенные розой",
    "zhCN": "玫瑰骑士"
  },
  {
    "id": 20774,
    "Key": "Hawk Branded",
    "enUS": "Hawk Branded",
    "zhTW": "天鷹烙印",
    "deDE": "[ms]gezeichneter[fs]gezeichnete[ns]gezeichnetes[pl]gezeichnete",
    "esES": "[fs]de marca de gerifalte[ms]de marca de gerifalte[fp]de marca de gerifalte[mp]de marca de gerifalte",
    "frFR": "[ms]fauconnier[mp]fauconniers[fs]fauconnière[fp]fauconnières",
    "itIT": "con Falco Inciso",
    "koKR": "ÿc2>ÿc3매 낙인의ÿc2<ÿc3",
    "plPL": "[fs]Sokola[ms]Sokoli[nl]Sokole",
    "esMX": "[ms]marcado por halcón[fs]marcada por halcón[mp]marcados por halcón[fp]marcadas por halcón",
    "jaJP": "鷹の刻印入り",
    "ptBR": "[ms]Marcado pelo Falcão[mp]Marcados pelo Falcão[fs]Marcada pelo Falcão[fp]Marcadas pelo Falcão",
    "ruRU": "[ms]украшенный ястребом[fs]украшенная ястребом[ns]украшенное ястребом[pl]украшенные ястребом",
    "zhCN": "雄鹰骑士"
  },
  {
    "id": 20807,
    "Key": "Jeweler's",
    "enUS": "Jeweler's",
    "zhTW": "珠寶匠",
    "deDE": "[ms]prunkvoller[fs]prunkvolle[ns]prunkvolles[pl]prunkvolle",
    "esES": "[fs]de joyero[ms]de joyero[fp]de joyero[mp]de joyero",
    "frFR": "[ms]joaillier[mp]joailliers[fs]joaillière[fp]joaillières",
    "itIT": "del Gioielliere",
    "koKR": "ÿc2>ÿc3보석공의ÿc2<ÿc3",
    "plPL": "[fs]Jubilerska[ms]Jubilerski[nl]Jubilerskie",
    "esMX": "del orfebre",
    "jaJP": "宝石職人が携えし",
    "ptBR": "[fs]Joalheira[ms]Joalheiro[fp]Joalheiras[mp]Joalheiros",
    "ruRU": "[ms]инкрустируемый[fs]инкрустируемая[ns]инкрустируемое[pl]инкрустируемые",
    "zhCN": "珠宝匠的"
  },

 

상점에서 구할 수 있는 템인데, 왜 비싼 것일까?

 

사실 상점에서 구할 수 있는 템이라기엔 현재 거론되는 가격이 지나치게 비싼 건 사실이다.

 

보통은 상점 러시(노가다) 템들은 공급이 넘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가격이 높지 않은 게 현실이니까.

더군다나 헬에서 60레벨 정도면 충분히 상점 러시가 가능한 템이기도 하고.

 

아마 현재 가격에는 좀 특수한 상황이 관여하고 있지 않을까 싶다.

 

그리고, 최상옵이 아닌 이상, 현재 일부에서 거론되는 가격에는

거품이 끼어있다고 보는 게 맞을 수도 있고.

성능을 보장할 수 없는 옵션임에도 지나치게 높은 가격대를 말한다거나 하는 경우가 종종 보인다.

 

Comments